해수, 갯벌 등 해양환경에서 서식하는 비브리오균에 감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피부의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급성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어 조기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감염병입니다.
- 주요증상 :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과 함께 24시간 내 출혈 및 홍반, 수포 등을 동반
- 감염경로 : 오염된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먹거나 바닷물에 상처 부위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하여 발생
- 잠 복 기 : 12-72시간
- 치 료 법 : 적절한 항생제 투여, 적극적인 상처치료(병변절제)
- 예 방 법
- 어패류 충분히 익혀 먹기
- 여름철 어패류는 가급적 5℃ 이하로 저온저장,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조리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 금지, 접촉 시 깨끗한 물과 비누로 노출 부위 씻기
- 어패류를 요리한 조리도구는 소독 후 사용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감염병으로 주로 오염된 소고기로 가공된 음식물 섭취를 통해 발생합니다.
- 주요증상 :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고, 일부 장 출혈, 용혈성 요독증을 일으킴
- 감염경로 : 오염된 식품‧식수 섭취, 오염된 조리 기구 사용, 환자 설사에 의한 2차 감염
- 잠 복 기 : 2-10일
- 치 료 법 : 보존적 치료(수분 공급 및 전해질 교정)
- 예 방 법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음식 충분히 가열해서 먹기, 물 끓여 마시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조리도구 채소용, 고기용, 생선용 구분하여 사용)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 금지
캄필로박터균 감염에 의하여 급성위장관염을 일으키는 감염병으로 주로 조리가 불충분한 닭고기, 돼지고기의 섭취를 통해 발생합니다.
- 주요증상 : 급성설사, 복통, 구토, 발열, 권태감
- 감염경로 : 오염된 물, 음식을 통해 전파
- 잠 복 기 : 1-10일
- 치 료 법 :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됨, 수분 공급 및 전해질 보충 등 대증치료
- 예 방 법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음식 충분히 가열해서 먹기, 물 끓여 마시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조리도구 채소용, 고기용, 생선용 구분하여 사용)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며 5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열 및 입안 물집과 궤양, 손발의 수포성 발진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평균적으로 5~8월에 많이 발생합니다.
- 주요증상 : 발열, 인후통, 구강 내 통증성 병변, 발진
- 감염경로 : 감염자의 침, 가래 등 호흡기 분비물과 수포안의 진물, 감염자의 대변 직접 접촉
- 잠 복 기 : 3-7일
- 치 료 법 :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됨, 수분 공급 및 전해질 보충 등 대증치료
- 예 방 법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등)
- 기침 예절 지키기(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철저한 환경 관리(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 소독 철저)
- 수족구병 환자와 접촉 피하기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으로 주로 부적절하게 가열된 동물성 단백질식품인 우유, 유제품, 가금류의 알 등이 원인으로 37℃에서 가장 잘 자라 5~10월에 많이 발생합니다.
- 주요증상 :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 위장 증상
- 감염경로 : 오염된 물, 음식을 통해 전파,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동물이나 환경에 접촉하여 감염
- 잠 복 기 : 6-72시간
- 치 료 법 : 대부분 5~7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되어 수분 보충 등 대증치료로 충분, 심한 경우 항생제 치료
- 예 방 법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 씻기)
- 음식 익혀 먹기, 물 끓여 마시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조리도구 채소용, 고기용, 생선용 구분하여 사용)
물에 서식하는 레지오넬라균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감염증으로 주로 발생하는 장소는 대형 건물의 냉각탑수, 인공수계시설로 여름철 고온과 초가을에 주로 발생하며 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 열(독감형)의 두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 주요증상 :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 증상과 함께 소화기계 증상 발생
- 감염경로 : 오염된 물속의 균이 비말 형태로 인체에 흡입되어 감염
- 잠 복 기 : 폐렴형(2-10일), 독감형(5시간-3일)
- 치 료 법 : 폐렴형(항생제 투여), 독감형(대증치료)
- 예 방 법
- 물 공급원의 소독(냉각탑 청소 및 소독)
- 토양 전파의 방지(토양 또는 퇴비로 작업을 할 때 유기체의 흡입 방지 및 손 위생을 통하여 흡인 예방)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흡혈하면서 전파되는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 모기의 활동이 왕성한 4월에서 11월 사이에 환자가 주로 발생하며 국내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으로는 인천, 경기, 강원 북부이며, 최근 아프리카 등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이 늘면서 해외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후 말라리아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검사받으시기 바랍니다.
- 주요증상 : 발열과 오한이 48시간을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황달, 신부전, 의식장애 등을 일으킴
- 감염경로 :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감염, 드물게 수혈에 의한 감염도 있음
- 잠 복 기 : 8-25일
- 치 료 법 : 항말라리아제(클로로퀸, 프리마퀸, 메플로퀸 등) 투여
- 예 방 법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밝은색 긴 옷 착용, 노출 부위는 모기기피제 도포)
- 유행 지역에서는 야간 활동 자제하기(모기 활동 시간인 일몰 후~일출 전)
- 고인물 등 모기서식처 제거
- 말라리아 유행 지역 여행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예방약 복용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열성질환으로 매개체인 진드기가 활동하는 봄부터 가을까지 주로 발병합니다.
- 주요증상 : 고열, 혈소판 감소, 소화기계 증상, 혈뇨, 혈변 등 출혈성 경향
- 감염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 감염된 환자의 체액에 직접적 노출되어 감염
- 잠 복 기 : 4-15일
- 치 료 법 :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
- 예 방 법
-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긴 옷, 긴 양말로 피부 노출 최소화, 기피제 사용)
- 작업 및 야외 활동 후 샤워나 목욕을 하고 작업복, 속옷, 양말 등을 세탁할 것
- 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있거나 피부발진이 있으면 즉시 진료받기